본문 바로가기
Films&Books

영화 리뷰_ Mudbound (치욕의 대지)

by 슬기로운 육아 생활 2025. 3. 23.
반응형

Mudbound 포스터

《치욕의 대지》(영어: Mudbound)는 2017년 공개된 미국의 역사 영화로, 힐러리 조던의 2008년 동명 소설이 원작이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시시피 시골 지역으로 돌아온 흑인과 백인 두 참전 용사가 인종 차별과 전쟁 후유증을 겪는 모습을 그린다. 각본과 연출, 그리고 배우들의 연기가 호평을 받았으며, 제75회 골든 글로브상에서 여우조연상과 주제가상 후보에 올랐다. 머드바운드 영화 주제를 비주얼적으로 압축하는 미장센이 특히 탁월하다. 

간략 줄거리 

  •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헨리 맥앨런(제이슨 클락)은 아내 로라(캐리 멀리건)와 함께 미시시피의 황폐한 농장으로 이주하지만, 이주 과정에서 사기를 당하고 척박한 환경에 내몰려 고난을 겪게 된다. 
  • 맥앨런 가족의 농장에서 일하는 흑인 소작농 해프 잭슨(로브 모건)은 가족을 지키며 살아가지만, 그의 아들 론젤(조나단 메이저스)이 전쟁에서 돌아오며 갈등이 심화된다.
  • 한편 전쟁에서 돌아온 헨리의 동생 제이미(개릿 헤들런드)와 론젤은 전쟁의 트라우마를 공유하며 우정을 쌓지만, 인종 차별이 만연한 사회에서 그들의 관계는 위협받는다.
  • 헨리의 인종차별적인 아버지 ‘파피’(조너선 뱅크스)는 론젤과 제이미의 친분을 못마땅하게 여기며 갈등을 부추긴다.
  • 결국 론젤은 지역 백인들에 의해 끔찍한 폭력을 당하고, 가족들은 그를 보호하려 하지만 무력감을 느낀다.
  • 제이미는 론젤을 돕기 위해 위험한 결단을 내리며, 각 인물들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삶을 개척해 나간다.

《치욕의 대지》(Mudbound)의 미장센은 시대적 배경과 인물의 감정을 깊이 반영하며, 강렬한 시각적 요소를 통해 영화의 주제를 강조한다. 비주얼이 영화 주제를 탁월하게 부각하고 영화 미학의 묘미를 보여준다. 

여주인공 캐리 멀리건이 석양을 배경으로 상념에 잠긴 모습

1. 황폐한 대지와 진흙의 상징성

  • 영화 제목 Mudbound가 암시하듯, 진흙(mud)은 영화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중요한 시각적 요소이다. 
  • 미시시피의 황량하고 거친 농토는 인물들이 처한 가혹한 현실과 사회적 억압을 상징한다.
  • 흑인과 백인 모두가 같은 땅에서 살아가지만, 진흙탕 속에서도 서로 다르게 존재하는 계층 구조를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2. 색감과 조명: 시대와 감정의 표현

  • 톤 다운된 흙빛과 무채색 계열이 주를 이루며, 건조하면서도 눅눅한 분위기를 조성해 전후 미국 남부의 암울함을 강조
  • 자연광을 활용한 촬영이 많아 사실적인 느낌을 주고, 햇빛이 드리우는 방식에 따라 캐릭터의 감정 변화를 섬세하게 표현
  • 어두운 실내 장면에서는 따뜻하지만 희미한 조명을 사용하여, 인물들의 억눌린 감정을 부각

3. 카메라 워크: 인물의 내면을 담아내는 시선

  • 핸드헬드 촬영이 사용되어 전쟁 후 트라우마를 겪는 캐릭터들의 불안감을 생생하게 전달
  • 롱테이크를 활용해 대지와 하늘을 강조하면서, 인간이 자연과 사회적 구조 속에서 얼마나 무력한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줌
  • 인물들의 클로즈업이 자주 등장하며, 이를 통해 그들의 감정과 내면의 갈등이 극대화
  • 구조속에서 무기력한 인간의 삶

4. 복식과 소품을 통한 시대적 고증

  • 1940년대 미국 남부 농촌의 현실을 반영한 의상과 생활용품이 매우 사실적으로 구현
  • 백인 지주 가문과 흑인 소작농 가족의 옷차림 차이를 통해 사회적 계급 격차를 표현
  • 제이미와 론젤의 군복은 전쟁 경험과 이후의 변화를 상징하며, 특히 론젤의 군복이 찢기거나 더러워지는 과정은 그가 겪는 인종차별과 억압을 강조

5. 비 오는 장면과 대지의 질감

  • 비와 진흙은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인물들이 빠져나올 수 없는 현실을 상징하는 동시에 정화와 재생의 가능성을 암시
  • 대지의 질감을 강조하는 로우 앵글 샷을 통해, 인물들이 자연과 사회적 구조 속에서 어떻게 억눌리고 있는지를 부각

6. 인물의 배치와 프레이밍: 고립과 갈등의 시각적 표현

  • 백인 캐릭터와 흑인 캐릭터는 같은 프레임 안에 배치되지만, 서로 분리된 듯한 느낌을 주도록 구도 구성 
  • 문, 창문, 울타리 등의 프레임을 활용해 인물들이 갇혀 있거나 단절된 듯한 느낌
    단절된 흑인과 백인의 관계

이러한 미장센 요소들은 영화의 핵심 주제인 인종 차별, 계급 갈등, 전쟁의 후유증을 더욱 깊이 있게 전달하는 역할

특히 영화전반적으로 흑백 갈등과 흑인이 억압받고 차별받았던 주제의식을 가지고 가지만 그 안에서 또 다른 억압받는 소수로는 여성의 존재가 부각된다.  백인, 흑인과는 별개로 척박한 환경에서 여성이 겪는 복잡한 고통 그리고 그 안에서 여성들만의 연대(사랑)으로 고통을 이겨내는 모습 등이 인상적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