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후긴의 취미생활>/Shop Movie

영화 리뷰 : 알고 보면 더 재밌는 'Call me by your name'

by 수학 잘 하는 아이 2024. 11. 12.
반응형

오래전에 본 영화지만 여전히 애정하는 루카 구아다니노 감독의 'Call me by your name'
을 간직하고 싶어 글을 남겨본다. 특히 정리한 내용들을 알고 보면 영화의 재미가 더욱 크다. 

이 영화는 동성애라는 주제를 가지고 사랑에 대한 고대 철학부터 중세 프랑스 문학 등
다양한 철학적 문학적 은유가 등장하는데, 그런 부분들을 들여다보는 것이 이 영화를 재미있게 
보게 되는 요소들이다. 

1)영화에서 '살구'_ 설익은, 엘리오를 상징하는 메타포

2) 엄마가 독어로 읽어주는 프랑스 소설 헵타메론 _ 사랑의 고통

3) 헤라클레이토스_변화만이 영원하다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4) 바흐 _ 바흐 칸타타 140번 중 4악장.

5) 프락시탈레스 조각상 _ 신체의 아름다움에 관하여


1) 영화에서 '살구'_ 설익은, 엘리오를 상징하는 메타포

올리버와 엘리오가 만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살구의 어원에 관한 대화가 나옵니다. 영화에서 주인공들이 자주 마시는 음료가
살구 주스인데 그것 때문에 그들은 그 어원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죠.

여기서 올리버는 살구의 어원이 라틴어의 praecoquum
그 뜻은 premature 설익은(미성숙한)라고 말합니다. 그 대화 중에 오가는
엘리오를 바라보는 올리버의 표정과 그런
올리버를 바라보는 엘리오의 표정이 잡힙니다. 

영화 중 살구의 어원에 대한 대화

PERLMAN : The word apricot comes from the Arabic - it’s like the words “algebra”, “alchemy”, and “alcohol”. It derives from an Arabic noun combined with the Arabic article ‘al-’ before it. The origin of our Italian ‘albicocca’ was ‘al-barquq’... He pauses to draw breath, then continues, warming to his subject. PERLMAN (CONT’D) It’s amazing that today in Israel and many Arab countries the fruit is referred to by a totally different name: ‘mishmish’.

OLIVER: The word is not actually an Arabic word. They have seen all this happening in the past.

It’s a long story, so bear with me, Pro. Many Latin words are derived from the Greek. In the case of ‘apricot’, however, it’s the other way around. (he throws a quick, amused look at ELIO) Here the Greek takes over from Latin. The Latin word was praecoquum, from pre-coquere, precook, to ripen early, as in precocious, meaning premature. The Byzantines - to go on - borrowed praecox, and it became prekokkia or berikokki, which is finally how the Arabs must have inherited it as al-barquq.

 

2) 엄마가 독어로 읽어주는 프랑스 소설 헵타메론 _ 사랑의 고통

Have you seen my Heptameron? PERLMAN It must be over there... ANNELLA finds the book. ANNELLA This is in German, but I’ll translate: “... A handsome young knight is madly in love with a princess. She too is in love with him

.. though she seems not to be entirely aware of it. Despite the friendship... Freundschaft... that blossoms between them, or perhaps because of that very friendship, the young knight finds himself so humbled and speechless that he is totally unable to bring up the subject of his love. One day he asks the princess point-blank:. ‘Is it better to speak or die’.

아마두르의 고백은 엘리오의 심정과 같죠. 

3) 헤라클레이토스_변화만이 영원하다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대사 중 하이데거가 그리스 철학을 인용한 부분이 나오는데
하이데거는 어렵게 쓰기로 유명해서 독일인들 사이에서
하이데거 독일어 번역본은 언제 출간되냐는 유머가 있다고 합니다 ㅎㅎㅎ

올리버와 엘리오의 유명한 수영장 씬입니다. 

올리버와 엘리오 수영장 씬, 하이데거 인용

Just listen to this drivel: “For the early Greeks, Heidegger contends, this underlying hiddenness is constitutive of the way beings are, not only in relation to themselves but also to other entities generally. In other words, they do not construe hiddenness merely or primarily in terms of entities' relation to human beings.” Oliver looks at Elio. OLIVER (CONT’D) Does this make any sense to you?

은폐에 의해 감추어진 존재자의 은폐된 모습은 알 수 없다.

이 본질적인 은폐는 존재 방식으로 항상 언제나 발현되는 것으로 그들 자신과의 관계에서 뿐 아니라 다른 존재자들과의 관계에서도 일반적으로 그러하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은폐를 단지 또는 주로 인간존재자들 간의 관계만으로 해석하지 않는다.

하이데거가 말하는 실존
Dasein is a being that does not simply occur among other beings. Rather it is ontically distinguished by the fact that in its being this being is concerned about its very being. Thus it is constitutive of the being of Dasein to have, in its very being, a relation of being to this being.

실존(實存, 영어: existence)이란 어떤 존재자(entity)실재(reality)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존재(being)[1]존재론속성이다. [2]

하이데거는 은폐은폐로서의 진리의 본질이 결국 존재의 현상방식이라는 의미에서의 존재의 진리라고 규정한다.

존재자의 비은폐성을 그리스인들은 ‘알레테이아’라고 일컬었다. 하이데거는 그리스어인 ‘알레테이아’를 비은폐성이라 번역하지만 로마인들은 ‘Veritas’라 하였고 ‘Veritas’를 독일 사람들은 ‘진리(Wahrheit)라 번역하였다. 통상적으로 진리라고 이해하는 것을 하이데거는 비은폐성으로 해석한다. ‘비은폐성’은 존재자가 감추어져 있는 상태에 있다가 그 감추어져 있음을 벗어버리고

자신을 드러내고 있음을 말한다. 진리는 은닉되어 있는 것이 은닉의 덮개를 벗고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리고 올리버의 책 사이에 끼워진 메모에서 발견되는 글입니다.
바로 그 유명한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의 '만물유전'이라는 책인데요
'한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그지 못한다' - 모든 것은 변한다
올리버는 여기에 자신의 생각을 더하여 오직 변화로써 영원할 수 있다는
의미심장한 문구를 써 두었습니다.

(V.O.) “The Cosmic Fragments” by Heraclitus. Elio sits and opens the book. There’s a handwritten page inside. OLIVER (V.O.) The meaning of the river flowing is not that all things are changing so that we cannot encounter them twice, but that some things stay the same only by changing.

헤라클레이토스 (그리스철학자) 만물유전(판타 레이) 중에 관련 내용은 이러합니다. 

You cannot step twice into the same river for other waters are continually flowing on it.

There is nothing permanent except change. Nothing endures but change.


4) 바흐 _
바흐 칸타타 140번 중 4악장.

바흐 칸타타 140번 중 4악장. 둘째 형 요한 야코프 바흐와의 이별을 맞아 작곡한 곡
평생 독일을 떠나지 않은 바흐, 스웨덴은 당시 전쟁 중이었고
둘은 아마도 다시 보지 못했을 것입니다. (엘리오와 올리버의 운명을 상징하는 듯하죠)

엘리오가 치는 바흐 칸타타

OLIVER Just play it again. ELIO I thought you didn’t like it. Hated it... OLIVER Hated it? Just play it, will you? ELIO The same one? OLIVER The same one. ELIO gets up and enter the house through the big door. ELIO Follow me. 26 INT. LIVING ROOM - PERLMAN VILLA - DAY 26 ELIO plays the piece on the piano. OLIVER leans on the door looking in. The music sounds very different from when he played it on his guitar. OLIVER You changed it. What did you do to it? Is it Bach? ELIO I just played it the way Liszt would have played it if he’d jimmied around with it. OLIVER Just play it again, please! ELIO begins playing the piece again. OLIVER listens, then speaks: OLIVER (CONT’D) I can’t believe you changed it again.

ELIO Not by much. That’s how Busoni would've played it if he’d altered Liszt’s version. OLIVER Can’t you just play the Bach the way Bach wrote it? ELIO Bach never wrote it for guitar. In fact, we’re not even sure it’s Bach at all. OLIVER Forget I asked. ELIO Okay, okay. No need to get so worked up. ELIO begins to play the Bach in its original form. OLIVER, who had turned away, comes back to the door. ELIO says, softly, over his playing: ELIO (CONT’D) It’s young Bach, he dedicated it to his brother.

5) 프락시탈레스 조각상 _ 신체의 아름다움에 관하여

그리스 조각상을 보는 장면이 나오는데 프락시탈레스의 조각은 남성 인체를 아름답게 표현한 것으로 유명하며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_고 돔과 소모라 (동성애를 의미하는 편)에서 등장하기도 합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동성애가 일반적이었다고? 하는 데 정확히 잘 모르겠지만 
조각상이 매우 아름다운 것만은 영화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Because these are more Hellenistic than the fifth-century Athenian, most likely sculp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greatest sculptor in antiquity: Praxiteles. Their muscles are film- look at his stomach for example- and yet never a straight body in these statues, they are all curves, sometimes impossibly curved and so nonchalant, hence their ageless ambiguity. As if they are daring you to desire them. Oliver, not unmoved by these images, steals a glance at Perlman to see if perhaps Elio’s father knows something about what is going on between Oliver and his son.

바다에서 건져올린 그리스 조각상

 

정리한 내용들을 찾아보는 재미도 크답니다. 혹시 안 보셨다면 추천하는 영화입니다. 

 

728x90
반응형